본문 바로가기

규정

병원 의원 등 의료기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반응형

병원 의원 등 의료기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2022년 4월 27일에 개정되어 2022년 5월 1일부터 시행되는 법률입니다.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등의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시행령

 

www.law.go.kr

기존에는 동 건물 내 5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조항이 있었는데(이 조항으로 동 건물 내 500제곱미터 미만의 의원은 장애인 편의시설이 없어도 개설이 가능했고, 새로운 의원이 들어오면서 500제곱미터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만 설치를 하면 되었습니다)

2022년 5월 1일부터는 100제곱미터 이상의 의원이 입점하려면 기본적인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해야만 개설신고가 가능합니다. 더 상위 개념인 료시설은 면적과 상관없이 거의 모든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면적별로, 그리고 병원/의원에 따라 설치해야 하는 기본적인 편의시설을 안내합니다. 

▶병원, 의원 장애인편의시설 설치기준◀
▶병원 용도변경시 비상계단 설치기준◀
▶병원 용도변경시 엘리베이터 설치기준◀

 

새롭게 개설하는 의료기관의 면적이 해당 기준보다 낮으면 된다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그게 아니라 동 건물 내 같은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면적의 누적면적입니다. 500제곱미터는 평수로 따지면 약 150여평인데, 100평 공실에 내과 개원을 검토하고 있는 경우 동 건물에 70여평에 개원 중인 치과가 있을 경우 내과가 개원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편의시설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합니다. 

 

100제곱미터 ~ 500제곱미터 미만

필수

- 주출입구 접근로

-  주출입구 높이 차이 제거 : 턱낮추기 혹은 휠체어 리프트 또는 경사로 설치

-  출입구(문)

권장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  복도

-  계단 또는 승강기

-  화장실(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500제곱미터 이상

필수

- 주출입구 접근로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 부설주차장의 주차대수가 10대 미만인 경우 제외

-  주출입구 높이 차이 제거 : 턱낮추기 혹은 휠체어 리프트 또는 경사로 설치

-  출입구(문)

-  복도

-  계단 또는 승강기

-  화장실 대변기(남자용 및 여자용 각 1개 이상)

권장

-  화장실(소변기, 세면대)

 

병원(의료시설)

필수

-  주출입구 접근로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 건물 내 법정 주차대수의 3%이상

-  주출입구 높이 차이 제거 : 턱 낮추기 혹은 휠체어 리프트 또는 경사로 설치

-  출입구(문)

-  복도

-  계단 또는 승강기

-  화장실(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 남자용 및 여자용 각 1대 이상 설치

-  점자블록(주출입구와 도로 또는 교통시설을 연결하는 보도에 설치)

-  시각 및 청각장애인 유도 및 안내 설비

-  시간 및 청각장애인 경보 및 피난설비

권장

-  욕실

-  샤워실, 탈의실

-  접수대, 작업대

-  판매기, 음료대

 

▶병원, 의원 장애인편의시설 설치기준◀
▶병원 용도변경시 비상계단 설치기준◀
▶병원 용도변경시 엘리베이터 설치기준◀

 

 

병원개원컨설팅, 의사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많은 의사선생님들의 개원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어디에, 어떻게 개원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하고 각 진료과목별 더 나은 개원입지를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하고 있습

blog.naver.com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의료시설 용도변경시 비상계단 기준

의료시설이 입점하려 할 경우 건축물에서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비상계단의 수, 건축물 후퇴, 엘리베이터 등이 있는데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medical-lab.tistory.com

 

 

의료시설 용도변경에 맞는 엘리베이터 설치 기준

건축물대장상 의료시설로 용도 변경해야 할 경우, 엘리베이터 설치 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엘리베이터가 규정에 맞으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건물을 검토 제외하거나 혹은 추가

medical-lab.tistory.com

 

반응형